현재 위치는 - 분류정보망 - 페인트 산업 - 포스트모던 예술은 예술의 담을 깨뜨렸나요, 아니면 예술이 스타일과 형식의 주체를 잃게 만들었나요?

포스트모던 예술은 예술의 담을 깨뜨렸나요, 아니면 예술이 스타일과 형식의 주체를 잃게 만들었나요?

이것은 객관식 질문입니까? 전자와 후자 사이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그렇다면 소위 예술 울타리가 무엇을 의미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예술기교인가요, 그림의 법칙인가요, 아니면 고아한 심미 기준인가요? 이런 것들은 예술 형식이나 스타일의 구체적인 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까?

그렇다면 소위 스타일 형식의 주체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요? 스타일인가요, 형식인가요? 아니면 스타일과 형식이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그렇지 않으면 스타일 주어 아니면 형식 주어? 스타일마다 같은 양식을 사용할 수 있고, 같은 양식에 다른 양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형식과 스타일은 예술의 주체가 아닐 수도 있고, 클리퍼드 벨은 예술이 의미 있는 형태라고 생각하지만, 그의 이론은 여전히 의문을 제기하여 아직 확고한 입장을 취하지 않았다.

포스트모던 예술의 작가들은 스스로 예술의 전당을 깨고 이른바 고아예술을 종식시켰다고 생각했지만, 사실은 사회경제체제와 경제형태의 끊임없는 발전으로 전통의 고아예술이 존재의 토양을 잃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 포스트모던 예술가들이야말로 진정으로 전당에서 쫓겨나 거리로 떠돌아다니는 사람들이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 예술명언) 현재 시각예술의 주요 서비스 대상은 소비상업, 상품포장에서 상품홍보까지, 예술은 고대 예술생산에서 소비품 생산으로 바뀌면서 공업화된 공예미술업과 공업설계업, 그리고 시각소비품을 생산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예술가가 탄생한다.

포스트모던 예술품과 전통 예술품의 본질적 차이는 포스트모던 예술품이 강력한 패스트푸드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고, 시각적 충격이 강하며, 시각적 정보 전달이 빠르고 효율적이며, 고대 예술품처럼 풍부한 문화 정보를 담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보통 내용이 간단하기 때문에 관객들은 반복적으로 궁리할 필요가 없다. 통속적으로 말하면, 한 번 보면 이해할 수 있고, 한 번 보면 충분하다. 소장분야에서 포스트모던 예술작품의 소장가치는 주로 비예술의 역사 유물 (예: 두상 소변기) 에 반영되며, 고대 예술작품의 소장가치는 역사 유물과 예술의 심미적 가치를 겸비하고 있으며, 주로 예술의 심미적 가치이다.

포스트모던 예술은 사실 소비재 생산 분야에 주력하는 것이지 예술 생산 분야가 아니라 그들이 쫓겨난 이유이기도 하다.

또한 하나의 관념을 바로잡기 위해 예술은 항상 사회경제 형태에 상대적인 상층건물이다. 그것은 어떤 것도 깨뜨리거나 어떤 것도 잃게 할 능력이 없다. 그것은 단지 깨지고 박탈당했을 뿐이다. 예술이 역사상 어떤 사회나 문화 변천과 연관이 있었다면, 그것은 사회 형태 변천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사회 변천을 뚜렷이 드러냈다는 의미일 뿐이다. 즉, 그것은 깊은 사회 변천을 반영한다는 것이다.